인간을 사랑한 철학자 몽테뉴, 에릭 호퍼 그리고 우명

에릭 호퍼 북 어워드(Eric Hoffer Book Award)에서는 2014 몽테뉴 메달 수상작으로 우명 선생의 <진짜가 되는 곳이 진짜다> 영역판 ‘Where You Become True Is The Place Of Truth’을 선정했다. 몽테뉴 메달은 해마다 ‘인류의 정신적 진보와 깨달음에 크게 기여한 책’ 단 2권에 수여하는, 권위 있는 도서상으로, 생전에 몽테뉴를 가장 존경했던 에릭 호퍼의 뜻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20세기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떠돌이 철학자 에릭 호퍼는 왜 16세기의 프랑스 철학자 몽테뉴를 가장 존경했을까. 에릭 호퍼 어워드에서는 왜 한국의 우명 선생에게 몽테뉴 메달을 수여했을까. 몽테뉴, 에릭 호퍼, 우명. 이들의 철학과 사상은 과연 어느 지점에 맞닿아 있는 것일까.

 
 

 

‘나는 무엇을 아는가’ 모럴리스트 몽테뉴, 자신을 연구하다

<수상록>으로 잘 알려진 미셸 에켐 드 몽테뉴(Michel Eyquem de Montaigne 1533 – 1592)는 프랑스의 철학자, 사상가, 수필가이다.

수상록의 원제는 ‘에세(Les Essais)’. 이것은 훗날 ‘에세이’라는 문학 장르의 원조가 된다. ‘에세’란 실험 혹은 시도를 뜻한다. 그리고 몽테뉴가 실험하고 시도했던 연구 대상은 바로 자신이었다.

 

“나는 나 자신을 더욱 깊이 연구한다. 이것이 바로 나의 철학이고 물리학이다.”

“’나는 무엇을 아는가(Que sais-je)?` 나는 이것을 나의 사색과 판단의 표어로 삼았다.”

 

몽테뉴는 ‘나는 무엇을 아는가’를 최대의 명제로 삼았다. 그 경험과 성찰의 기록은 20년에 걸쳐 총 3권의 수상록으로 남게 되고, 프랑스 문학사는 그를 모럴리스트(moralist)라 부른다.

 
%eb%aa%bd%ed%85%8c%eb%89%b42%eb%aa%bd%ed%85%8c%eb%89%b43
 

몽테뉴가 살았던 16세기는 유럽 역사상 손꼽히는 암흑기였다. 종교 개혁의 후폭풍으로 가톨릭과 신교가 대립하고, 신교는 다시 칼뱅파와 루터파로 갈리며 증오와 갈등이 치닫는 시기였다.
‘어떻게 이 혼란스러운 세상에 휩쓸리지 않고 나 자신으로 살 것인가?’를 고민한 몽테뉴는 그 어느 편에도 서지 않았다. 중용과 관용을 지지했던 그는 오직 자신의 세계, 종교와 학문, 자연과 문명, 권력과 평등을 논하고, 인간의 내면에 귀 기울였다.

 

“사람이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가장 그릇된 사상을 가꾸게 되는 주요한 요인은 자기 자신을 높이 평가하는 데서 온다고 본다.”

“습관은 제2의 천성으로서 제1의 천성에 비해 결코 약한 것이 아니다.”

“자신은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한 자는 인간이란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고 확언할 만큼 충분하게 만물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eb%aa%bd%ed%85%8c%eb%89%b4%ec%88%98%ec%83%81%eb%a1%9d2                %eb%aa%bd%ed%85%8c%eb%89%b4%ec%88%98%ec%83%81%eb%a1%9d
 

몽테뉴는 철학자라면 일부러 고독을 자처하여 조용히 명상하고 사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루도 평화로운 날이 없었다고 할 만큼 종교 전쟁과 전염병의 참화 속에 가족과 친구를 잃어야 했던 몽테뉴는, 스스로도 죽을 고비를 넘기게 되면서 죽음에 대해 깊이 성찰하게 된다.

“죽음이 어디서 우리를 기다리는지 알 수 없으니, 어디서든 죽음을 기다리자. 죽음에 대해 미리 생각하는 것은 자유에 대해 미리 생각하는 것이다. 죽는 법을 배운 사람은 노예 상태에서 벗어난 사람이다. 생명의 상실이 나쁜 것만은 아님을 깨달은 사람에게 인생에서 나쁜 것이란 아무것도 없다. 죽는 법을 알면 모든 예속과 속박에서 벗어난다.”

“나는 진정 독서와 명상에만 몰두하는 삶을 살고 싶었다. 그러나 내 정신은 질서도 상호 연관성도 없이, 수많은 망상이나 기괴한 괴물들을 계속해서 만들어내는 느낌이었다”고 고백한 몽테뉴.

그 복잡한 마음을 다스리고자 <수상록>을 쓰기 시작한 그는 자신의 상념을 정리하고, 경험을 관찰하며 ‘나는 무엇을 아는가’와 ‘죽음’에 대한 사유에 집중한다. 몽테뉴 사상의 정수 <수상록>은 한 인간이 어떻게 영적으로 진화하는가에 대한 기록이며, 모든 인간에 대한 애틋함이다.

 
 
 
 

‘나는 어디로 가는가’ 길 위의 철학자 에릭 호퍼, 삶을 여행하다

“언어는 질문을 하기 위해 창안되었다. 대답은 투덜대거나 제스처로 할 수 있지만, 질문은 반드시 말로 해야 한다. 사람이 사람다운 것은 첫 질문을 던졌던 때부터다.”

떠돌이 노동자로서, 인생의 대부분을 길 위에서 살았던 에릭 호퍼가 스스로에게 던진 인생 질문은 ‘어디로 가는가’였다고 볼 수 있다.

%ec%97%90%eb%a6%ad%ed%98%b8%ed%8d%bc1-%eb%8b%b4%eb%b0%b0-%ec%98%86%eb%aa%a8%ec%8a%b5

에릭 호퍼(Eric Hoffer, 1902 – 1983)는 미국 뉴욕에서 가구제조공인 독일계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7살 때 어머니가 그를 안고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사고를 당하면서 실명을 하게 되고, 2년 뒤에는 어머니마저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난다.

15살 되던 해 기적적으로 시력을 되찾게 된 그는 그것이 일시적인 것이라 믿고, 다시 눈이 멀기 전에 책을 읽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독서에 집착한다.

하지만 18살에 아버지마저 잃게 되자, 그는 로스앤젤레스로 떠나 노동자의 삶을 살게 된다.

막노동꾼, 웨이터, 행상, 사금채취공… 직업소개소를 통해 겨우겨우 일자리를 얻어 살아야 했던 고된 생활 속에서도 그는 독서를 그만두거나 책에 대한 애정을 잃지는 않는다. 하지만 매일매일의 노동에 지친 그는, 28살 때 자살을 시도하게 되는데, 그날을 에릭 호퍼는 이렇게 묘사한다.

“자살에 실패한 뒤 조그만 보따리를 어깨에 메고 로스앤젤레스를 떠날 때 내 마음은 가벼웠다. 사방이 탁 트인 시골로 나왔을 때 나는 이제야 내가 집으로 돌아왔다는 것을 깨달았다.”

죽음을 결심하는 과정에서 인생의 짐을 다 내려놓게 되었던 것일까. 그는 그때의 가벼움과 자유를 ‘집에 돌아왔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마치 다시 새로 태어난 듯 길을 나선다.

‘혼자 걸으니 가슴이 설레네 / 들판이 멀리 나아가 하늘과 만나고 / 산들이 꿈 같은 푸르름 속에 떠 있고 / 속삭이는 바람이 쏜살같이 달려가는 / 그곳은 어디인가’

%ec%97%90%eb%a6%ad%ed%98%b8%ed%8d%bc3-%eb%8c%80%ed%99%94%ec%97%90%eb%a6%ad%ed%98%b8%ed%8d%bc-%eb%8f%85%ec%84%9c

에릭 호퍼에게 철학은 일상이었다. 정규 교육은 한 번도 받지 못했지만 그에게는 노동자들을 만나고 대화하는 그 현장이 바로 인간 성찰의 시간이었다.

“나와 이야기를 나눈 사람 가운데 어느 누구도 자신의 불행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리는 사람이 없었다. 거의 예외 없이 ‘나 외에 다른 누구도 원망하지 않는다’라는 말로 시작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것만큼 이웃을 사랑한다. 우리는 자신을 대하는 만큼 남을 대한다. 그리고 스스로를 용납하는 것만큼 남을 용납하려 하며, 자신을 용서하는 것만큼 남을 용서한다.”

“자유란 어느 사람에게는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하지만, 대부분에게는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ec%97%90%eb%a6%ad%ed%98%b8%ed%8d%bc-%eb%a7%b9%ec%8b%a0%ec%9e%90%eb%93%a4-the_true_believer_first_edition%ec%97%90%eb%a6%ad%ed%98%b8%ed%8d%bc-%ea%b8%80

엄청난 독서량과 현장 경험,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은 그로 하여금 위대한 사상가의 길을 걷게 한다. 그런 에릭 호퍼가 가장 존경한 철학자는 몽테뉴였다. 그는 <수상록>을 외울 정도로 수없이 읽었으며 노동자들에게 몽테뉴의 사상을 설명해주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인간의 본질을 연구해온 몽테뉴가 자신의 내면마저 꿰뚫고 있다고 느낀 것이다. 에릭 호퍼는 자신의 회고록 <길 위의 철학자>에 몽테뉴에 대해 이렇게 적는다.

“나는 그가 나에 대한 모든 것을 쓰고 있다고 느꼈다. 그는 나의 깊은 속마음까지 알고 있었다.”

철학자라 불리기 훨씬 이전부터 노동자, 독서광, 삶의 여행자였던 에릭 호퍼.

그가 사회철학자라 불린 건 그 어떤 형식이나 가림 없이 사람들을 만나고 함께하며 얻어낸 깊이 때문일 것이다. ‘나는 어디로 가는가’ 그가 가져온 평생의 화두는 인간 사회를 더한층 성장시키는 사상으로 정립되었다.

‘나는 진짜인가’ 인간 완성의 철학자 우명, 방법을 찾아내다

‘나는 무엇을 아는가.’ ‘나는 어디로 가는가.’

이 두 가지 명제는 몽테뉴와 에릭 호퍼만의 과제는 아니었다. 인지하며 살아가든 그렇지 못하든 철학자라 불리든 그렇지 않든 우리 인류 모두의 근본적 의문이자, 숙제였던 것이다.

우명 선생은 그 답을 찾으려면 ‘진짜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 우리가 그동안 답을 찾지 못한 것은 참인 진짜로 살지 못하고 자기가 만들어낸 가짜로 불완전하게 살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세상은 이미 완전한 세상이나 사람이 가짜인 자기 마음세상 속에서 살고 있기에 완전한 세상을 보지도 못하고 살지도 못한다. 어떻게 하면 사람이 진짜가 되어 진짜 세상에서 살 수 있을까?”

“진짜란 참이고 참이란 진리이다. 가짜인 나를 다 버리면 진리만 남아 그 진리가 내가 되니, 이것이 인간 완성이다.”

“지금은 가짜를 버리는 방법을 통해 누구나 진리가 될 수 있다. 누구나 진리가 되어야 한다.

‘사람은 왜 태어나 왜 살고 어디로 가는가’는 우명 선생의 오랜 화두였다. 하지만 그 답을 찾기 위해 종교에 귀의하거나 홀로 산속으로 들어가지는 않았다. 그는 우리처럼 생활인으로 살며 구도의 길을 걸었다.

몽테뉴처럼 자기 내면을 성찰했으며, 에릭 호퍼처럼 삶의 현장을 단 한 번도 떠난 적이 없는 것이다. 그런 그가 발견한 인간 완성의 방법은, 영적 진화를 과제로 삼고 고민해온 사상가들에게는 더할 수 없는 대안이 되어주었다.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기를 완전히 버려야 한다고 우명 선생은 말한다. 자기를 버림으로써 사람들은 진리가 되고, 그럼으로써 완전함 또는 천국에 이를 수 있다. 이 가르침을 사실로 받아들이든지 아니든지 또 인간의 생각 속에 갇혀 계속 살든지 아니든지 간에, 우명 선생이 창시한 수련 방법이 인류의 거짓된 복잡성을 벗겨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고 누구에게라도 영적인 진화를 향한 걸음에 도움이 될 것이다.”

– <The US Review of Books> ‘진짜가 되는 곳이 진짜다’ 서평 중

우명이 말하는 ‘자기를 완전히 버려야만 완전해진다’는 것은, 몽테뉴와 에릭 호퍼가 죽음을 바라보며 깨달았던 자유, 마치 집에 돌아온 것 같다고 표현한 것과 상통한다. 자기를 버리는 순간 찾게 되는 것은 가짜인 ‘자기’라는 세상이 만들어지기 이전의 진짜세상, 완전한 본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대 사상가들이 갈구하고 아는 것에 그쳤다면, 우명은 실제 그렇게 사는 방법을 발견했으니, 몽테뉴와 에릭 호퍼가 이 사실을 알았다면 뭐라고 했을까. 아마도 이렇게 말했을 거 같다.

‘나는 내가 무엇을 아는지, 이제 알게 되었다. 고통 없는 영원한 행복은 원래 내 안에 있었다.’

‘더 이상 나는 어디로 가는가 헤맬 필요가 없다. 목적지를 정확히 아는 방법이 나왔다.’

%ec%a7%84%ec%a7%9c%ea%b0%80-eric-hoffer-900

1996년 마음수련 명상 방법을 창시한 이래, 쉼 없이 전 세계를 다니며 강연과 집필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 우명 선생. 그는 그 이유를 이렇게 말한다.

“나는 오직 사람들이 인간마음의 고통과 짐에서 벗어나 모두가 대자유인 참마음으로 다시 나서 살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다.”

– 우명

인간은 언제까지 불완전해야 하는가. 언제까지 불안과 허무, 속박에 갇혀 살아야 하는가.

그 끝을 내고 싶었던 세 명의 철학자 몽테뉴, 에릭 호퍼, 우명. 이 세 사람이 맞닿은 정점은 바로 인간에 대한 사랑이다.

* 인용문구 출처 : <수상록>(몽테뉴), <길 위의 철학자>(에릭 호퍼), <진짜가 되는 곳이 진짜다>(우명)

논문에서 발견한 우명 선생의 책 <이 세상 살지 말고 영원한 행복의 나라 가서 살자>

“부산대 철학과 박경숙 강사, 퇴계 이황과 우명 선생의 철학을 논하다”

최근 학교 인성교육의 실천적인 대안으로 학계의 많은 인사들이 ‘명상’을 말하며 수많은 연구와 자료를 발표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부산대 철학과 박경숙 강사 역시 <성리학의 관점으로 보는 마음빼기 명상의 전인교육적 가치’ – 이황의 사상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을 전인교육학회지(vol. 9)에 게재한 바 있다. 박경숙 강사는 동서양과 고금을 막론하고 역사적으로 수많은 철학자들의 탐구해온 학문의 목적에 대하여 서술한다. 특히 조선시대 최고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현대에 이르러 전인교육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명상 마음수련 창시자 우명 선생의 철학과 비교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를 해석해내어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하는 논문 내용을 요약 및 발췌해 재구성한 것이다.


들어가며

교육은 그 대상인 인간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인간 이해를 기본 전제로 삼은 교육은 ‘인간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관한 철학적 물음을 피할 수 없다. 곧 교육의 목표는 인간의 본성에 대해 탐구하는 철학의 목표와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철학자들이 인간 본성에 관한 탐구를 이어왔다. 그 중에 특히 성리학은 학문의 목적을 인간의 본성에 이르는 길, 즉 성인이 되는 것이라 보고, 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이론적인 체계를 만드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성리학은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나 조선으로 건너오면서 특히 심학 부분에 큰 발전을 이루게 된다. 조선성리학은 “어떻게 마음을 닦을 것인가?”에 관한 수양론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은 조선의 성리학을 이끈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욕심을 버려 도심에 도달하는 것이 성인에 이르는 길이라고 하고 그러한 본성의 마음에 도달하기 위한 수양에 힘썼으며, 또한 그것을 후학을 가르치는 교육의 목표로 삼았다.
한편, 최근 학교 인성교육으로 확산되고 있는 마음수련(마음빼기 방법) 명상을 창시한 우명의 교육 철학은 이황의 사상과 매우 닮아 있다. 우명이 말하는 인간의 본성과 마음의 형성 원리, 그리고 성인이 되기 위한 방법론 등은 이황의 우주론과 심성론 그리고 수양론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맥락에서 그렇다. 그러나 그 방법론에 있어서는 평생에 걸쳐 어려운 학문적 수양을 요구하는 이황의 수양론에 비해 누구나 짧은 시간에 마음을 버릴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우명이 한층 더 진일보한 것으로 보여진다.

퇴계 이황의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성리학에서는 마음을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으로 나눈다. 인심을 극복해서 도심에 이르는 것이 수양론의 요체라고 한다.

“무릇 심학(心學)이 아무리 여러 갈래이지만, 그 요점을 총괄하여 말한다면
인욕을 막고[인심], 천리를 보존하는[도심] 두 가지 일뿐이다.”(이황,『퇴계전서』)

인심과 도심을 성리학자들이 심학의 심법으로 삼고 성인이 되는 학문의 근간으로 삼은 것은 인간을 해명하기 위한 가장 깊은 고뇌였을 것이다. 인심은 주로 사심(私心)과 사욕(私欲)으로 정의 내리기도 한다. 인심을 극복한다는 것은 자기중심적인 나에 대한 반성이며 극기(克己)이다. 나를 이긴다는 것은 우주적인 본래의 모습으로 살지 못하는 나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다.

이황에게 수양론의 요체는 ‘경(敬)’이다. 경이란 한마디로 주일무적(主一無敵)을 의미한다. ‘하나에 집중하여 생각에 흐트러짐이 없는 것’이다. 경은 ‘마음가짐’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으로 마음을 다스린다는 것으로 처음의 마음은 천리를 체득한 도심이 되고, 두 번째의 마음은 다스려져야 하는 대상의 마음인 인심이 된다. 도심에 집중하는 것을 ‘경’이라고 하며 경으로 마음의 중심을 잡아 인심에 흔들리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 이황 마음공부의 핵심이다.

심학도(心學圖)

퇴계 이황의 『심학도(心學圖)』

우명 선생의 우주마음과 인간마음

우명은 사람의 마음을 우주마음과 인간마음으로 나누고, 인간의 본성을 우주마음이라고 했다. 인간이 본성의 마음으로 살지 못하는 이유는 자기중심적인 마음세계를 만들어 그 속에 살고 있기 때문인데 이것이 인간마음이라고 한다.

“사람은 세상에 태어나서 눈· 코· 귀· 입· 몸에 의하여 사진을 찍는 하나의 도구이고
세상의 것을 사진을 찍어 간직하는 것이 그 마음이다.
우리가 죄다, 업이다 하는 것은 세상과 하나가 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고
세상의 것을 사진 찍어 자기 마음의 사진 속에 사니
인간은 세상인 근원을 배신하여 제 세상을 만들어 사니 이것이 죄이고 업이다.”(우명, 2011).

즉, 인간은 그 마음세상이 진짜세상 위에 똑같이 겹쳐져 있기 때문에 세상 사는 줄 착각하지만 진짜세상이 아닌 사진인 마음속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마음을 버리다 보면 그에 가려져 있던 본래인 우주마음이 점점 드러나게 되고, 마침내 그 마음세계를 모두 버리면 자기중심적인 인간마음세계를 완전히 벗어나 성인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전인이 되지 못하는 이유와 그 해결 방법
우명에 의하면 인간은 세상을 사진 찍고 오감으로 느낀 감각을 마음에 새겨서 자기만의 세계를 형성해 그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다. 그렇게 때문에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이기적으로 자기밖에 모르는 허상의 마음밖에 없다. 또한 이 마음은 자기가 편리한대로 인지된 정보를 구성하고 편집하기도 하기 때문에 인간이 인식하는 세상은 뇌의 착각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의 세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인간은 자기중심적인 마음으로 신념이 형성되고 왜곡된 시선으로 세상을 인식하게 되며 실제인 참세상과 단절하게 된다. 이로부터 죄와 업이 쌓이게 된다. 악이란 세상과 소통하지 못하고 공감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세상 사는 줄 아나 세상 살지 않고 자기의 마음속에 살고 있기에
전인(全人)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우명, 2011)

이황 또한 인심을 사심(私心)이라 하여 “나 의식[私]은 마음의 해충이요 모든 악의 뿌리”로 극복해야 할 대상이라고 했다. 이황이 인심을 버려 도심을 지키고 성인이 되는 것을 학문의 목표로 삼았듯이 우명 역시 거짓된 인간마음을 버려서 우주마음인 참마음을 회복하여 성인인 인간완성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것이 인간이 이 세상 나서 사는 이유이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이 세상에는 없다고도 말한다.

이황은 오로지 성인이 되고자 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왔고 그가 남긴 학문적 성과는 이 시대에 계승해야 될 교육의 진정한 의미로 재탐구되고 있다. 500년 조선사상사에서 그만의 독창적인 학문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는 ‘리발(理發)’설과 성인이 되기 위한 수양론을 정립하고 성군의 길을 가길 바라는 간절함으로 선조에게 전했던 『성학십도(聖學十圖)』는 그의 학문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사심에서 벗어나는 체험적 깨달음을 통해 내가 없어진 상태로서의 리가 도심이며 그 마음은 선의 판단 근거를 하고 악의 근거가 되는 사심을 알아차렸을 때 그 마음을 제거할 수 있는 주체적 마음임을 강조하였다. 이 마음을 지키고 키우는 것, 그것이 이황이 하고자 한 것으로 성인이 되는 마음공부이며 제자들에게 전해주고자 했던 전인교육이다.

우명은 이황이 이상향으로 남겨둘 수밖에 없었던 성인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방법론을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선조들이 추구해온 학문과 교육의 목표를 계승함과 아울러
더욱 큰 발걸음을 내딛었다고 할 수 있다.

%ec%9d%b4%ec%84%b8%ec%83%81-%eb%b3%b8%eb%ac%b8%ec%82%ac%ec%a7%842

우명의 마음수련 마음빼기 명상방법을 통해 가짜인 인간마음을 다 버리고 본성인 우주마음이 되면 ‘나’라는 존재를 완전히 넘어서 일체의 사심이 없는 성인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부딪침과 걸림이 없어 싸움이 없는 하나 된 세상이 된다. 또한 전체를 하나로 인식하게 되니 남을 위하고 세상을 위해 살게 된다고 한다. 그러한 세상이 순리와 공존의 세상으로 평화롭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이다. 이것이 빼기를 하는 이유이며 성인을 꿈꾸는 진정한 전인교육이라고 그는 말한다.

성인이 되는 것을 목표로 삼은 이황과 우명의 교육 사상은 급변하는 전환의 시대에 모두가 함께 행복한 공존의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진정한 인간중심 교육을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특히 우명은 인간완성을 위한 실제 방법론은 체계화시켰다는 점에서 인류 정신문명사에 하나의 큰 획을 그었다고 생각되며, 그의 사상에 대한 더욱 심층적이고 발전적인 연구를 제안한다.


성리학의 관점으로 보는 마음빼기 명상의 전인교육적 가치-이황의 사상을 중심으로>(박경숙. 부산대 철학과) 중에서

<참고문헌>
『高麗史』 『論語』 『四書或問』 『書經』 『心經附註』 『周易』 『朱子語類』 『退溪全書』

김대식 (2016). 눈에 보이는게 진짜 현실일까?. tvN.

우명 (2011). 이 세상 살지 말고 영원한 행복의 나라 가서 살자. 서울: 참출판사.

유발 하라리 (2017). 호모데우스-미래의 역사- (김명주 역). 파주:김영사. (원서 2016년 발행)

정영근 (2010). 발도로프 교육론의 전인교육적 고찰. 발도르프교육연구, 2(1), 1-20.